2014년 1월 17일 금요일

몬테네그로 잡설 12 : 멀어진 꿈

니콜라의 영토확장의 꿈은 오토만 터키에서 1908년 청년터키 혁명이 일어나면서 야무지게 영글어 간다. 국민개병제, 근대적 조세제도, 오토만 중심의 근대 교육제도 등 청년터키들이 생각했던 근대적 개혁이 곧바로 부메랑 역효과를 일으키기 시작했거든.  오토만 중심의 교육이란 것이 소수민족 자체를 부정하는 것인데 누가 좋아하겠는가. 국민 개병도 문제였다. 지금까지 오토만 땅에서 기독교인들은 기본적으로 군면제였다. 그런데 이제부터는 차별없는 징집제란다. 기독교인들 입장에서는 나가기만 하면 지는 군대를 가는 게 영 마뜩찮았을 것이다.

알바니아가 문제였다. 당장 북부 카톨릭계열의 하이랜더들이 반발하기 시작했다. 이들의 반발을 찍어 누르기 위해 무장해제까지 시켰더니, 이게 알바니아 산중의 마초들에게는 치욕 중의 치욕이었다. 이런 틈을 몬테네그로가 비집고 들어왔다. 국경을 넘어서 도움을 청하는 이들 부족에게 무기를 제공하는 등 은밀한 지원활동에 들어갔다.

거리를 걷는 알바니아 두카진Dukagjin 하이랜더들. '굿펠라' 같은 영화의 한장면 같다. 다른 민족에 비하면 알바니아와 오토만은 궁합이 잘 맞는 편이었다. 기독교계 하이랜더들도 용맹성을 인정받아 터키의 의용병Bashi-Bazouk으로 많이 차출됐다. 그게 또 자존심이었다. 이런 자존심을 구겨놨더니, 그길로 알바니아와 터키는 앙숙이 됐다.

하지만, 아무리 이들 부족의 도움을 받는다고 해도 몬테네그로가 오토만 군대에 덤비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와 비슷했다. 이번에도 열강들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 하지만, 1878년 맺은 베를린조약은 열강 간의 평화체제다. 다들 속이 빤한데, 어설픈 공작이 뽀록나면, 전쟁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을 열강들이 더 잘 알고 있었다. 나는 이 전쟁 반댈세..가 열강들의 입장이었다.

하지만, 니콜라에게는 다른 길이 있었다.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 등 발칸의 이웃들이 그것이었다. 오토만 터키와 1대1로 붙을 깜냥은 안되지만, 다 같이 힘을 합치면 터키보다 군사력이 더 컸다. 마침 1911년 제국주의 발동이 걸린 이태리가 리비아로 쳐들어 갔다. 다급한 오토만이 여기에 군대를 투입하면서 발칸 전선이 엷어졌다. 코소보에서는 알바니아 무슬림들이 봉기했다. 터키로서는 미치고 팔짝 뛸 노릇. 무슬림 알바니아에게 빼앗길 손가. 모처럼 마음이 맞은 발칸의 이웃들이 공동전선을 구축하고, 앞가림이 바쁜 오토만 터키에 똥침을 놨다. 바로 1912년 1차 발칸전쟁이다.

니콜라의 생각에는 승산이 있었다. 1870년대 헤르체고비나 봉기 때 다들 버벅거리는 가운데도 몬테네그로 만큼은 독야청청 상승이 아니었던가. 자신이 있었다.

이런 생각에 니콜라는 군대를 둘로 나눈다. 어차피 헤르체고비나는 버린 자식. 하나는 코소보로 들어가고 다른 하나는 알바니아로 들어간다. 코소보의 최종 목적지는 프리즈렌Prizren, 세르비아 최전성기를 열었던 황제 두샨의 근거지다. 여기를 탈환하게 된다면, 페트로비치 왕조는 세르비아의 중심세력으로 우뚝 서게 된다는 계산이 섰다. 거기에 스쿠타리Scutari를 중심으로 알바니아 해변을 도모한다면 경제적인 기반도 넓힐 수 있다.

시나리오는 좋았는데, 연출이 꽝이었다. 코소보는 몬테네그로와 비슷한 산악환경이고, 알바니아계 무슬림 의병들이 터키군을 어느 정도 다듬어주는  바람에 무주공산이나 다름이 없었다. 그런데 스쿠타리 공략은 평지의 대형 공성전이었다. 오토만 측에서도 일찍부터 요소요소에 기관총, 대포, 철조망을 달아놓고 철저히 대비해 놨다. 이런 곳을 뚫으려면 보급선을 차단하고 대포 등 근대적 무기의 지원을 받아 일사불란한 군사작전을 펴야 한다. 그런데 몬테네그로 군은 이런 대규모 작전을 해본 적이 없다. 당연히 발이 묶였다. 게다가 목적했던 코소보의 프리즈렌은 세르비아군이 먼저 점령했다.

스쿠타리 인근 타라보쉬Tarabosh 고지에 휘날리는 몬테네그로깃발. 상처 뿐인 영광이다. 오토만 터키군이 이 고지에 대포와 기관총을 설치하는 바람에 갈길이 바쁜 몬테네그로군에는 막대한 피해를 줬다. 

어떻게 어떻게 세르비아군의 힘까지 빌어서 스쿠타리의 항복을 받아냈다. 그러나 열강들이 허락하지 않았다. 막대한 인력과 시간을 투입해 가면서 들어간 성인데, 다시 내놓으라고 한다.  이걸 줘 말어.... 니콜라는 고민했다. 열강들의 눈에는 이런 니콜라가 계란 후라이하려고 집에 불지르는 철부지 같았다. 이번엔 러시아조차도 노발대발. 망설임 끝에 니콜라는 결국 철수를 선택한다.

어쨌거나 몬테네그로는 이번 전쟁에서도 승전국이다. 덕분에 땅은 넓어졌다. 하지만 전략적 목표는 뭐 하나 달성한 것이 없었다. 없는 살림에 칼춤 잔치 한번 벌렸더니 돌아온 계산서가 장난이 아니었다. 터키 놈들이나 다름없던 알바니아는 이제부터 독립국이란다. 다른 것은 다좋은데, 세르비아하고는 국경을 바로 접하게 됐다. 이게 스트레스의 근원이다.

1912, 1913 두차례에 걸친 발칸전쟁으로 또 다시 바뀐 국경. 세르비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모두 땅을 넓혔는데 아무래도 그리스와 세르비아의 소득이 크다. 1차 전쟁 후 영토배분에 불만을 품은 불가리아는 한번 더 깽판을 부렸다가 집단 다구리를 당했다.

1914년 열린 선거에서는 세르비아와의 통일을 주장하는 정파가 정권을 잡았다. 국경 너머 세르비아의 왕은 다름아닌 사위 페타르다. 원래부터 데면데면했는데, 시집간 딸도 유명을 달리해서 지금은 더 서먹하다. 국경을 획정하는 협의에서도 사위네는 강퍅하게 굴지 않고 몬테네그로 쪽에 후하게 쳐줬다. 그게 더 기분 나빴다. 이것들이 나를 깔보나? 대세르비아의 꿈.... 그래 그래 좋은 게 좋은 거지..... 니콜라로서는 웃는게 웃는게 아니었다.

근본적으로 국제환경이 30년전과는 판이하게 바뀌었다. 고만고만한 작은 민족의 쟁투가 이어지면서 '발칸화'Balkanization이라는 말이 국제사회에 등장했다. 에디스 더햄Edith M. Durham같이 동시대를 겪었던 외국인사들은 이 전쟁을 계기로 몬테네그로의 동정자에서 극렬 비판자가 됐다. 몬테네그로는 30년전까지만 해도 오토만의 압제에 맞서 자유를 위해 싸우는 '숭고한 야만인'이었으나 이번 전쟁을 기점으로 '그냥 야만인'으로 바뀌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