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20일 화요일

보스니아 유사 6 : 오토만의 쇠퇴와 보스니아 17-18세기

보통 오토만 제국의 정점이라고 하면 술레이만 대제 때를 이야기한다. 1520년부터 1566년까지 40년을 집권했는데, 어느 술탄보다도 긴 재위기간이다. 이 때 헝가리까지 싹 정리하고 비엔나 코앞까지 밀어닥쳐 어느 때보다 서구 문명권의 위기의식이 높았다. 하지만 달도 차면 기우는 법. 오토만 터키 제국의 내정이 여기 저기서 파열음을 낸다.

터키에서 만든 대하 TV 드라마, 술레이만 대제. 터키도 어느 정도 경제가 좀 돌아가니, 과거의 영화를 회상하기 시작했다. 이 시리즈는 발칸을 비롯한 남동유럽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기본적으로 정복을 통해 경제권을 확대해 나갔던 오토만의 경우, 유럽, 북아프리카, 중동, 중앙아시아까지 영역을 넓혔으나, 그 이후로는 기술(병참선), 자연조건(사막) 등의 이유로 더 이상의 확장이 어려웠다. 17세기 말 오토만의 총리가 만용을 부려서 다시 한번 비엔나를 포위하긴 했지만, 그것이 한계였다. 그 이후 오토만은 유럽세력에 야금야금 땅을 잃기 시작한다.

더 이상 확장하기 어려운 국토, 여기에 유럽, 중동에서의 전란이 지속되면서 전에는 없던 전쟁세가 만들어졌다. 한 때는 어쩌다 한번 있는 일이었지만, 17세기부터는 거의 상시세금처럼 고착됐다. 기층 민중들의 세금부담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보스니아 같은 경우는 특히 오토만의 최전선이었기 때문에, 이 같은 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게다가 행정관료들에게서 과거와 같은 기율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술탄으로부터 위임받아 보스니아를 다스리던 행정관Governer으로는 그루지아, 아르메니아, 알바니아 등 외지인이 임명받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들 중에는 선정을 베풀거나 문화적 유산을 남긴 사람도 있지만, 상당수는 개인적 축재를 위한 변학도 노릇에 골몰했다.

복잡한 행정제도를 악용한 여러가지 꼼수와 트릭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종교 시설을 위한 비영리재단vakuf 제도를 악용하면서 각종 세수누출이 심해지고, 더불어 오토만 재정에 부담을 줬다.

티마르 제도와 같은 왕토제도도 쇠퇴하고, 술탄의 말빨이 먹히지 않는 개인 사유지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개인 사유지가 넓어지면서, 직접 땅을 경작하는 농민들의 지위가 전에 비해 크게 약화됐다. 100%는 아니지만, 소작농의 대부분은 기독교인. 당초 보스니아에서 사회 갈등은 종교보다는 경제 갈등의 색채가 강했다. 

지주들의 등쌀에 못이긴 소작농들의 상당수는 땅을 버리고 산으로 들어갔다. 이들이 활빈당, 양산박과 같은 채를 꾸리고 산적이 됐다. 크로아티아-보스니아-세르비아에서는 이런 산적들을 하이둑hajduk이라고 부르고 이들의 영웅담을 칭송하는 민요가 많다. 우리나라 조선조에 임꺽정, 장길산 등 산적들이 많아진 것과 비슷한 이치다. 특히 산지가 많은 보스니아는 이들이 활동하기에 더없이 안성마춤이었다.

보스니아 어느 마을에서 17세기 하이둑을 재현한 모습. 하이둑이란 말은 오늘날에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세르비아 등지에서 로빈훗과 비슷한 어감으로 기억된다. 오토만에 대한 민중적 저항을 상징하는 낭만적 기억이다. 크로아티아의 스플릿의 프로 축구팀 이름도 하이둑이다. 

이 같은 내정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가 후대까지 이슬람적 색채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를 그 행정제도의 특수성에서 찾는 사람들이 있다. 보스니아가 오토만의 변경에 있다보니, 군사조직의 중요성이 컸다. 보스니아에는 총독 등 술탄이 직접 임명하는 관료 이외에 지역 보안과 군사력의 유지를 책임지는 카페탄kapetan(그렇다. Captain과 동일 어원이다)을 뒀다. 17-18세기에는 이들 카페탄들이 다스리는 카페탄구kapetanije가 39개나 있었는데, 오늘날의 보스니아를 대부분 커버한다. 이들은 당초에 군사 업무에서 나중에는 세금 징수 등 행정 전반에 걸쳐 업무영역을 확대시켜 나갔다. 나중에는 거의 세습직화하면서 일종의 봉건영주와도 같은 권력을 지니게 된다. 이 같은 카페탄 제도가 유럽의 보스니아 침입을 막아내는 데 어느정도 효과적이었다는 것이 오늘 날의 해석이다.

'보스니아의 용'이라고 칭송되는 후세인 그라다쉬체비치Husein Gradaščević. 이 양반 역시 카페탄이었다. 19세기 들어 오토만 조정에 대항해서 보스니아의 자치를 요구하는 봉기를 일으켰다. 보스니아 만의 정체성을 원하는 무슬림들에게는 영웅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