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24일 일요일

몬테네그로 잡설 2 : 산 속의 생활

15-6세기 쓰나미처럼 몰려오는 오토만의 물결을 피해서 산으로 달아난 몬테네그로인들. 산으로 들어가고 보니 사방이 막막했다. 디나릭 알프스 자락의 산악 지형은 카르스트 암반 위주의 지형이다. 몬테네그로에는 하느님이 천지를 창조하시고 남은 돌덩어리들을 이쪽지역에다 버렸다는 전설이 있다. 당연히 거칠고 황폐하다.

코토르 만을 둘러친 몬테네그로의 산들. 물가는 그럭저럭 살아갈 수 있지만, 산위는 보기는 좋지만 살기는 영 아니다. 몬테네그로인들이 19세기말까지 산에서 내려오질 못했고 이들 해변 도시를 제대로 접수한 것 역시 20세기 전후의 일이다.

이런 산속에서 최후까지 반 오토만 전선의 선봉이었던 이반 츠르노예비치도 몇 년 살아보다가, 15세기 말 베니스로 투항했다. 츠르노예비치의 후예로 이반의 세째 아들 스타니샤Staniša는 아예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오토만 술탄의 대리자로서 지역을 군림했다. 그러나, 지역에 뿌리박은 호족으로서가 아니라  행정관료로서였다.

산속에서 지배계급이 없어진 만큼 몬테네그로 인들의 생활에도 커다란 변화가 왔다. 억센 환경에서 살아남으려면 사람들도 그만큼 억세어지지 않으면 안됐다. 그렇다고 개개인으로는 생존이 어려웠던 만큼 대가족을 중심으로 한 부족들이 나타났다.

목축업이 주요 생활수단이었지만, 이것 역시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언제든지 산아래로 내려와서 약탈로 호구지책을 삼았다. 주된 약탈의 대상은 주로 어느정도 윤택했던 무슬림 대갓댁이었지만, 부족들 끼리도 목축지를 둘러싸고 험한 싸움이 지속됐다.

위의 그림은 산 아래를 내다보는 몬테네그로 전사의 모습. 마초들이 다스리는 남성우위사회다.  고산지대를 배경으로 강팍한 스파르타 생활을 영위했으니까 가히 하이랜더라 할만 하다.

누군가 나의 원한과 원망을 풀어주고 사회적 정의를 실현해  줄 중앙권력이 없었기 때문에, 사회적 정의는 부족들이 스스로 해결하지 않으면 안됐다. 때문에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룰이 금과옥조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 같은 룰은 부족간의 쟁패를 불식하기는 커녕 더 확산시킬 여지가 있었다. 게다가 산 아래는 오토만이라는 강적이 있지 않은가?

해서 부족간의 분규 해결이나 쟁송 협의를 위해서 부족회의Opšti Crnogorski zbor가 구성됐다. 오늘 날 의회와 같은 역할이라고 보면 되려나? 또 누군가 불편부당한 사람이 중심을 잡아 주지 않으면 안됐다. 그래서 나온 것이 블라디카Vladika, 부족간 회의를 통해서 선출된 지역 정교교회의 수장이다. 영어로는 Prince-Bishop으로 번역되는 데, 만약 번역 그대로라면 고대국가 형성 이전의 제정일치 또는 신정합일 사회의 모습이다.

그러나, 세금 제도가 없다 보니 중앙집권적 정부가 나올 수가 없었고, 그렇다고 가만히 있으면 오토만에 먹히던 내분으로 망하는 길밖에 없었기 때문에 나온 방책이었다. 어느 누구에게 이런 권력을 몰아주기는 어려우니 어느정도 도덕적 권위를 가지고 있던 종교인에게 권력을 몰아준 것이다. 그러나 블라디카가 받은 권력이라는 것 역시 실제적 물리력을 의미한 것은 아니다. 블라디카의 궁극적 역할은 군사지도자이자 중재자였다. 군사지도자라 함은 오토만에 대한 군사지도자, 중재자라 함은 부족간의 알력을 막는 타협의 매개체 역할인데, 말 안듣는 족장에게는 '파문' 으름짱을 놓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길이 없었다.

몬테네그로 산중의 생활. 터키식 칼 야타간과 총을 찬 남자들의 무대였다. 이들에게 '무장해제'란 '거세'와 비슷한 어감으로 다가왔다.

때문에 19세기까지 몬테네그로의 정치체제는 정교일치였다고 하지만, 오늘 날의 이란에서 볼 수 있는 형태가 아니었다. 정치적 리더로서의 블라디카의 권력은 취약하기 짝이 없었다. 봉건 영주가 없는 무계급 사회에서 개별 구성원들은 모두 자유인이었다. 산에서 사는 만큼 삶은 강팍해졌지만, 개인을 찍어누르는 계급은 없어진 셈이다. 무정부적 자유주의자들의 연합. 이것이 몬테네그로 산중생활의 실체였다. 이 같은 생활양식이 18-19세기 서유럽의 낭만주의적 영감을 자극했다.




2013년 11월 11일 월요일

구유고 음악 10 : 록에서 집시 뮤직까지 Goran Bregović

고란 브레고비치Goran Bregović는 보스니아 출신의 락/에트노 뮤지션이다.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2차대전 후 사회적 긴장이 완화된 틈을 타서 민족 간의 혼인이 성했다. 고란 브레고비치도 이런 예로, 아빠는 세르비아, 엄마는 크로아티아계다.

고란 브레고비치의 최근 모습. 90년대 유고 내전이후 고향이 보스니아를 떠나 세르비아에 눌러 앉기는 했지만 이기 팝Iggy Pop 등 서구 락스타에게 곡을 주고 크로아티아의 팝스타 세베리나Severina 등과 교류하는 등 국제적 지명도도 높다.  

20대 초반이던 70년대 말, 고란은 보스니아에서 친구들과 이런 저런 모색끝에 비옐로 두그메Bijelo Dugme(하얀 단추라는 뜻)라는 락 밴드를 결성했다. 80년대에 걸쳐 보스니아 뿐만 아니라 유고 락 음악 역사에서 다수의 기념비적 명반을 배출한 대표 밴드다. 초기작들은 딥 퍼플, 레드 제플린의 영향을 받은 정통 하드락 계열이지만, 80년대 중반부터 시류에 편승해서 뉴웨이브로 전환했다. 고란의 변신의 싹수는 여기서 부터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비옐로 두그메 전성기 때의 모습. 보스니아의 사라예보는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만나다 보니 경제적으로 피지는 못해도 유고슬라비아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비옐로 두그메 역시 가장 시골스런 곳에서 가장 세련된 음악을 추구한 밴드 되겠다.

그러나 90년대 들어 보스니아에서 더 이상 밴드음악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 고란 브레고비치는 결국 세르비아에 정착하고 본령인 락음악에서 집시음악을 중심으로 한 에트노/월드 뮤직으로 방향을 틀었다.

왜 하필이면 집시음악인가? 모를 일이지만, 비옐로 두그메 후기 앨범에서는 집시노래 번안곡이 들어있었던 것을 생각해보면, 고란 브레고비치의 집시음악에 대한 관심은 오래전부터 형성된 듯 하다.

영화감독 에밀 쿠스트리차와의 공동작업(집시의 시간dom za vešanje, 언더그라운드underground 등 에밀 쿠스트리차 대표작의 음악은 모두 고란의 작품)을 통해 집시 뮤직에 기반을 둔 영화음악을 발표해서 그 성가는 일국을 넘어서 범유럽으로 퍼져 나간 바 있다.

영화 언더그라운드는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만가다. 헤쳤다 모였다를 반복하는 남슬라브족의 처지가 정처없이 유랑하는 집시들과 비슷하게 느껴져서 그랬을까? 아니면 유고 내전이 한창 진행되던 가운데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혼혈로 태어난 자신의 처지가 부질없이 느껴져서 그랬을까? 적어도 90년대에 들어 사방에서 고립된 세르비아인들에게는 고란표 집시음악이 상당히 깊은 울림을 가지고 다가왔던 것 같다. 고란은 음악적 방향을 바꾼 90년대 이후 다른 나라 민족음악인(속칭 월드뮤직)들과의 교류를 통해 음악적 지평을 넓혔지만, 그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집시 음악만큼은 벗어나질 않았다.

고란 브레고비치작 집시음악의 가장 큰 특징은 완급 조절이다. 하드 드라이브 일색의 집시음악에 고란은 긴장과 이완을 불어 넣었다. 여기에 주류적 대중감성, 모던 프로덕션 기술로 사운드를 윤색하니까 정말로 성속聖俗, 귀천貴賤이 변증법적으로 결합된 잘된 음악이 나왔다.

고란 브레고비치의 섹스Sex. 원래 음반에서는 집시 음악의 왕 샤반 바이라모비치의 음성이 수록됐다. 샤반의 다른 음반과 비교해 보면 프로듀서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제목이 좀 거시기 하긴 한데, 은밀하게 밀고 당기는 듯한 섹스의 정조가 잘 표현된 것 같다.

그러나 허다한 작품 가운데에서 고란 브레고비치의 최대 히트곡은 에밀 쿠스트리차의 영화 '집시의 시간'(1989) 사운드트랙으로 수록된 '에데를레지'Ederlezi다. 90년대 세르비아에서는 시대의 송가처럼 불리워 졌다. 

전통적 집시 브라스밴드의 반주를 바탕으로 한 에데를레지. 2005년 이태리 아시시Asisi 성프란시스코 바실리카에서 개최된 크리스마스 라이브 현장이다.  

에데를레지는 발칸의 종교축일 '聖조지의 날'Đurđevdan(Saint George's Day)를 기리는 집시들의 노래다. 이 날을 전후로 사람들은 강가에서 몸을 씻고 새끼양 통구이를 먹는다. 종교축일의 틀을 빌렸지만, 실제 주민들에게는 다가오는 봄을 기리는 축제날이기도 했고, 그래서 그런지 발칸의 주민들은 카톨릭, 정교, 무슬림 할 것 없이 이 날을 기념했다. 때문에 학자들은 기독교가 전파되기 전, 이교도의 축제에서 그 기원을 찾기도 한다.

이보 안드리치와 더불어 보스니아 대표문호 메샤 셀리모비치Meša Selimović의 대표작 더비쉬와 죽음Derviš i smrt은 바로 이 성조지의 날부터 스토리가 시작된다. 이슬람 성직자Derviš인 주인공이 밤중에 길을 걸어가면서 성조지의 날을 맞는 주민들을 보면서 제도화된 종교적 순수성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불결함과 불쾌함을 느낀다. 남과 여의 원초적 마그네티즘으로 형성되는 생명이란 순수와 고결을 숭배하는 화석화된 기성종교로는 참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을 것이다. 에데를레지는 종잡을 수 없는 봄 또는 생명의 시작을 찬미하는 찬송이지만 그 가사는 애잔하기 그지없다.
Ederlezi 
All my friends are dancing the oro Dancing the oro, celebrating the day
All the Roma, mommy
All the Roma, dad, dad
All the Roma, oh mommy
All the Roma, dad, dad
Ederlezi, Ederlezi
All the Roma, mommy
All the Roma, dad, slaughter lambs
But me, poor, I am sitting apart
A Romany day, our day
Our day, Ederlezi
They give, Dad, a lamb for us
All the Roma, dad, slaughter lambs
All the Roma, dad, dad
All the Roma, oh mommy
All the Roma, dad, dad
Ederlezi, Ederlezi
All the Roma, mommy